Front end VS Back end?
프론트엔드는 백엔드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User Interface의 작업을 말한다. 프론트엔드 작업이 없으면 정말 밋밋하고 정돈된 느낌이 없는 인터페이스를 볼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이용중인 웹 사이트의 인코딩이 깨졌을 때 나온다.
반면 백엔드는 API (OS나 App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 개발에 중점을 둔다. 웹 서버와 DB 등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HTTP Statue Code
HTTP 상태 코드란 클라이언트의 요청 상태를 보여주는 코드이다. 이 코드를 통해 현재 요청 상태가 어떻게 되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만큼 굉장히 다양한 코드가 있어 여기에 정리하기는 너무 방대해질거 같아 빈도수가 높은 것, 중요한 것만 간략히 정리한다.
-1xx (Informational) : 요청이 수신되어 진행 중에 있음 / 사실 상 보기 힘듬
101 Switching Protocols :
103 Early Hints :
-2xx (Success) : 요청이 정상적으로 처리됨
200 OK : 요청의 성공적인 처리. 가장 일반적인 HTTP 상태
204 No Content : 성공적으로 처리했지만 컨텐츠는 제공하지 않음. API 요청 등에서 주로 사용
206 Partial Content : 컨텐츠의 일부만 제공한다. 클라이언트에서 시작 범위나 다운로드 범위를 지정한 경우 자동으로 해당 부분만 제공할 때 사용하는 코드
-3xx (Redirection) : 요청을 완료하기 위해 리다이렉션(자동으로 다른 페이지로 넘어감) 해야함
301 Moved Permanently : 영구적으로 컨텐츠가 이동했을 때 사용
302 Found : 일시적으로 컨텐츠가 이동했을 때 사용
304 Not Modified : 클라이언트는 로컬PC에 저장된 캐시를 재사용
307 Temporary Redirect : 302와 같으나 HTTP 메소드(POST, GET 등)의 변경을 허용하지 않음
308 Permanent Redirect : 301과 같으나 역시 HTTP 메소드의 변경을 허용하지 않는다.
-4xx (Client Error) : 클라이언트의 오류. 요청이 올바르지 않음
400 Bad Request : 문법 등의 오류로 서버가 이해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401 Unauthorized : 인증이 필요한 서비스에 인증 없이 접근할 경우 발생한다.
403 Forbidden : 서버가 요청을 거부하는 것이다. 차단당했거나 권한이 없을 때 발생한다.
404 Not Found : 요청받은 리소스를 찾을 수 없는 것
408 Request Timeout : 요청 시간이 초과되었을 때 사용된다.
+418 I'm a teapot : 이스터에그
-5xx (Server Error) : 서버의 오류. 요청이 제대로 되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500 Internal Server Error : 서버 자체에 오류가 발생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없을 때 발생한다.
502 Bad Gateway : 서버가 게이트웨이로 작업하는 동안 잘못된 응답을 받음.서버 폭주 등의 과부하일 때 자주 발생한다.
503 Service Temporarily Unavailable :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 사용된다.
504 Gateway Timeout : 게이트웨이가 연결된 서버로부터 응답을 적절한 시간 내에 받을 수 없을 때 발생한다.
'기본적인 웹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브쿼리 (1) | 2024.06.18 |
---|---|
NRDBMS(NoSQL) (0) | 2022.10.21 |
쿠키와 세션 / 로그인 로직 (0) | 2022.10.21 |
DB / RDBMS ?? (0) | 2022.10.19 |
3-Tier Client / Server (0) | 2022.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