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Tier Client / Server
물론 위의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이 기본 구조이고 기술의 발전과 다양한 응용을 요구함에 따라 middle tier를 추가한 모델이다. 웹 서버에서는 이 3-Tier 모델을 사용하는데 Web Server / WAS (Web Application Server) / DB로 나누어진다.
Web Server는 정적인 파일을 처리하며 WAS는 동적인 파일을 처리하고 DB는 데이터를 보관하는 저장 공간이다.
네트워크 통신 상황에서의 예시를 들자면 클라이언트 측이 파일과 같은 자원을 요청하면 정적인 파일 같은 경우 Web Server에서 처리해서 클라이언트 측으로 바로 처리해주고, 동적인 파일의 경우에는 정적인 부분은 Web Server가, 사용자에 따라 다른 동적인 부분같은 경우는 WAS가 DB에 개별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요청하여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적인 파일을 만들어 Web Server를 통해 클라이언트 측으로 넘겨준다.
다양한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요즘 시대는 3-Tier가 기본으로 사용되지만 단순한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할 때, 혹은 클라이언트의 수가 적어서 굳이 동적으로 처리할 필요 없이 각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경우는 Client / Server 모델을 활용하는 것이 여전히 효율적이다.
'기본적인 웹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브쿼리 (1) | 2024.06.18 |
---|---|
NRDBMS(NoSQL) (0) | 2022.10.21 |
쿠키와 세션 / 로그인 로직 (0) | 2022.10.21 |
DB / RDBMS ?? (0) | 2022.10.19 |
HTTP 상태 코드 (0) | 2022.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