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저작권 관리
1) 스테가노그래피 (Steganography)
암호화와는 다른 개념으로 암호화가 비밀을 기록하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스테가노그래피는 다른 무언가로 감추어 메시지 자체를 은폐한다.
일반적으로 사진파일 등에 인간이 인지하지 못할 정도의 미세한 부분에 변화를 주어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2) 디지털 워터마킹 (Digital Watermarking)
원본의 내용을 왜곡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혹은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도록 저작권 정보를 디지털 컨텐츠에 삽입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의 일부 비트 대신 저작권 정보 등 다른 정보를 추가하더라도 사용자는 원래 미디어의 품질 손상을 인지하지 못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워터마킹이 공격을 받았을 때 쉽게 파괴되느냐에 따라 강성 / 연성 워터마킹으로 나뉜다.
3) 핑거프린팅 (Fingerprinting)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할 때 구매자의 정보를 삽입하여 불법 배포 발견 시 최초의 배포자를 추적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판매되는 컨텐츠마다 구매자의 정보가 들어가므로 불법적으로 재배포된 컨텐츠 내에서 핑거프린팅된 정보를 추출하여 구매자를 식별하고 법적인 조치를 가할 수 있게 된다.
4) 디지털 저작권 관리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은 디지털 컨텐츠 소유자가 자신의 컨텐츠에 대한 접근을 자신 또는 자신의 위임자가 지정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기술적인 방법 또는 방법의 집합을 의미한다.
DRM이 제어하는 컨텐츠 접근은 실행, 보기, 복제, 출력, 변경 등을 모두 포함하고 디지털 컨텐츠는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텍스트, 멀티미디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한다.
DRM 구성 요소
1. 메타데이터(Metadata): 컨텐츠 생명주기 범위 내에서 관리되어야 할 각종 데이터의 구조 및 정보이다.
2. 패키저(Packager): 보호 대상인 컨텐츠를 메타데이터와 함께 Secure Container 포맷으로 패키징하는 모듈이다.
3. 시큐어 컨테이너(Secure Container): DRM의 보호 범위 내에서 유통되는 컨텐츠의 배포 단위이다.
4. 식별자(Identifier):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5. DRM 제어기(DRM Controller):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PC 또는 디바이스 플랫폼에서 컨텐츠가 라이선스에 명시된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제어한다.
'정보보안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 암호 사용 방식 (0) | 2023.03.09 |
---|---|
스트림 암호, 대칭키 블록 암호(DES, AES 등) (0) | 2023.03.08 |
블록 암호 (0) | 2023.03.07 |
암호학 (0) | 2023.03.05 |
정보보호관리 (0) | 2023.03.04 |